2024 투자자를 위한 닭고기 육계 수혜주 TOP 10+ | 대장주 정리

1. 닭고기 육계 관련주 이슈 원인

한국산 삼계탕이 유럽연합(EU) 시장에 첫 수출되며 닭고기 육계 관련주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1996년 시작된 EU와의 검역위생 협상의 결실로, 연간 약 272억 원 규모의 수출 증가가 예상됩니다.
또한, 일본 오염수 방류, 한우 가격 상승 등 외부 요인과 여름철 복날 소비 특수성은 닭고기가 주요 대체재로 부각되는 배경이 되고 있습니다.


2. 닭고기 육계 관련주, 대장주 및 테마주

(1) 마니커에프앤지 (대장주)

  • 주요 사업: 튀김류, 패티류, 구이류, 훈제류 등 육가공 제품.
  • 특징: 미국, 일본 등 주요국으로의 수출 확대.
  • 수혜 요인: 삼계탕 EU 수출 확대와 매출 성장 기대.

(2) 마니커 (수혜주)

  • 주요 사업: 종계 사업, 부화, 사육, 도계 및 유통의 수직 계열화.
  • 특징: 국내 닭고기 대표 기업으로, 생산·공급망 안정.
  • 수혜 요인: 여름철 수요와 수출 증가 간접 수혜.

(3) 하림 (테마주)

  • 주요 사업: 양계, 사료 제조, 부화 및 가공.
  • 특징: 국내 육계 계열화 산업 선도 기업.
  • 수혜 요인: 닭고기의 대체재 수요 증가와 시장 점유율 상승.

(4) 체리부로 (테마주)

  • 주요 사업: 육계 계열화, 생산부터 유통까지 통합 관리.
  • 특징: 안정적인 공급망과 다수 종속회사를 통한 사업 안정성.
  • 수혜 요인: 닭고기 소비와 가공식품 시장 성장.

(5) 동우팜투테이블

  • 주요 사업: 양계, 종란, 사육, 가공 및 판매.
  • 특징: 자체 브랜드 **’동우 바른닭고기’**로 소비자 신뢰 구축.
  • 수혜 요인: 브랜드 신뢰도 및 수출 확대 간접 수혜.

(6) 팜스토리 (ASF 관련주)

  • 주요 사업: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, 육가공 사업.
  • 특징: 안정적 사료 사업 기반으로 꾸준한 성장세.
  • 수혜 요인: ASF 발생 시 돼지고기 대체재로 닭고기 수요 급증 가능.

(7) 정다운

  • 주요 사업: 육용 오리 도축 및 가공품 판매.
  • 특징: 닭고기와 유사한 공급망 구조로 대체재 역할 수행.
  • 수혜 요인: 간접적인 시장 수혜 가능성.

(8) 이지홀딩스

  • 주요 사업: 마니커, 팜스토리 등 자회사 보유.
  • 특징: 육가공 및 축산업 포트폴리오 다각화.
  • 수혜 요인: 자회사의 성장 및 수출 확대 수혜.

(9) 푸드나무

  • 주요 사업: 건강 간편식 플랫폼 ‘랭킹닭컴’ 운영.
  • 특징: 다이어트 및 피트니스 시장 선도.
  • 수혜 요인: HMR(가정 간편식) 시장 성장과 소비 증가.

(10) 교촌에프앤비

  • 주요 사업: 교촌치킨 프랜차이즈 운영.
  • 특징: 높은 브랜드 인지도로 국내외 시장에서 입지 강화.
  • 수혜 요인: 프랜차이즈와 가공식품 사업 확장.

3. 업종 동향 및 특징

(1) 수요 증가 요인

  • 계절적 소비: 여름철 복날 등 계절적 특수로 닭고기 수요 급증.
  • 대체재 역할: ASF 및 한우 가격 상승으로 대체재로 주목.
  • 외부 요인: 일본 오염수 방류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부각.

(2) 수익성 악화 요인

  • 공급 과잉 우려: 생산 주기가 짧아 가격 변동성이 큼.
  • 조류인플루엔자(AI) 위험: AI 발생 시 도축량 감소와 소비 위축 가능.
  • 원재료 의존성: 배합사료 원재료 수입 의존으로 환율 및 곡물가 변동에 민감.

4. 시장 전망

(1) EU 시장 진출

삼계탕 EU 시장 수출은 국내 육계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며, 약 272억 원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추가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

(2) 대체재 역할 강화

ASF, 한우 가격 상승 등 외부 변수는 닭고기의 대체재 역할을 강화하며, 안정적인 수요를 뒷받침합니다.


(3) 장기적 성장 가능성

  • 프리미엄 가공식품 확대: HMR 제품 수요 증가와 닭고기 브랜드화는 안정적 시장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됩니다.
  • 식품 안전 강화: 국내외 식품 안전 기준 강화는 신뢰도를 높이며 육계 시장의 지속 가능성을 지원합니다.

Leave a Comment